화학사고 대응 위한 환경 분야 연구개발... 7년간 880억원 투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15-10-11 08:45 조회3,404회관련링크
본문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화학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정부 예산 880억원과 민자 233억원을 투입해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환경부는 이 사업을 통해 화학사고 전 과정에 걸쳐 모두 14개 세부 기술을 개발한다는 목표인데요,
이 중 현장적용 시급성과 기술개발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우선순위가 높은 환경위험지도 기술개발, 휴대용 측정장치 개발 등 4개를 올해 추진과제로 선정했습니다.
우선 2020년 완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 ‘환경위험지도 기술개발’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화학물질별 특성에 따라 화학사고 피해 확산범위를 예측하여 사고발생 위험지역에 대한 대비를 강화할 수 있으며,
2019년 완성이 목표인 ‘휴대용 측정장치 개발’에서는 사고대비물질 중 필수물질 34종 이상의 식별 및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다매체·다종 측정장치를 개발, 각종 화학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시킬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동식 응급배기 기술’을 개발해 작업장 내에 누출된 유해화학물질(독성가스)의 신속한 포집·처리로 작업장 외부누출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마련하며, ‘최적방제 기술’로는 유해화학 사고물질 특성에 적합한 최적 방제제 개발과 차량탑재형 방제제 살포장치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이들 4개 과제 외에 나머지 유해화학물질 오염 폐기물 발생량 산정 및 적정 처리기술 개발, 화학사고 후 인체영향평가 기술 개발 등 10개 과제도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개발됩니다.
환경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화학사고 관리단계별 전 과정에서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2021년까지 선진국 대비 85% 이상의 기술수준과 과학적 자료에 기반한 화학사고 관리체계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한편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규모는 2002년 2444만톤에서 2013년 4735만톤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매년 300여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국내 시장에 새로 들어오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2013년 전국 유독물 취급사업장에 대한 정부합동 전수조사 결과 전체 42% 업체가 화학사고 위험 항목에 대한 취약 사항이 발견되는 등 국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안전관리 실태는 미흡한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