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SITEMAP
> 화섬정보 > 화섬정보

화섬정보

유럽 나일론 6 시장의 과거, 현재, 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19-06-14 17:20 조회1,661회

본문

화섬정보 6.14

 

유럽의 나일론 시장은 지난 10년 간 지속적인 침체기에 머물렀으나 지난 2년간 활기를 띠면서 현재 밸류체인의 시황이 호전되고 있음. 유럽의 나일론 시장은 오랜 기간 동안 수요 대비 공급 과잉상태가 지속되었고, 제품가격이 최저 수준으로 마진이 거의 없는 상황이었음

 

이러한 상황의 주된 요인으로 첫 번째 위기는 `07~`09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발생함. 당시 나일론 6를 비롯한 모든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감하였으며, 이는 가격폭락으로 이어져 나일론 6의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지면서 마진이 없게 됨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시황 악화가 2년간 지속되다가 `11년 상반기 극적으로 회복세에 접어듦. 나일론 6의 수요 증가로 제품 가격이 상승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나일론6 가격이 톤당 4,000불에 이르렀으나 4개월 만에 톤당 가격이 2,500달러로 급락함

 

두 번째 위기는 중국업체들이 유럽과 미국을 비롯하여 아시아 전역에 나일론 6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막대한 규모의 신증설을 단행하면서 공급과잉이 발생하게 됨. 또한, 유럽에서 중국으로의 나일론 6 완제품과 폴리머 수출이 급감하게 되는데, 이는 중국에서 수입산 대신 로컬업체들로부터 제품을 공급 받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임. 두 번째 위기로 인해  Nylon 6의 시장가격이 하락했으나 업체들은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수준이었음

 

한편, 중국산 Standard polymer가 서구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중국업체들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함. 일부 중국 생산업체들은 나일론6의 장단기 수익성이 불확실해짐에 따라 특정 부문에서 사업을 철수하기도 함. `14년 중국에서 다시 대규모 Nylon 6 신증설을 이루어짐에 따라 공급량이 확대되면서 나일론 6 및 중간체(Intermediates) 가격이 Cash Cost에 근접한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며, 가격 하락이 `16년 말까지 지속됨

 

유럽과 미국 내 일부 생산업체들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최소한의 수익성을 유지함. 한편, 일부 업체들은 당시 공급과잉 상태이긴 하나 아시아 생산업체들이 서구 시장에서 그들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함. 중국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의 영업전략을 수정함

 

이후 나일론 66 공급업체들의 천재지변 선언과 아디포나이트릴(Adiponitrile,ADN) 공급량 부족으로 수요/공급 밸런스가 몇 개월간 영향을 받게 되면서 나일론 66의 가격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함. 이러한 가격 상승으로 사용자들이 일부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나일론 66를 나일론 6로 대체하게 됨. 이로 인해 나일론 6 공급자들은 적정마진을 유지할 수 있게 됨

 

나일론 원사 사용비중이 높은 유럽의 터프티드 카펫(Tufted Carpet) 시장에서도 나일론 6의 수요가 증가하게 됨. 최근 사무실 내 카페트 타일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나일론 66 원사로 만든 카펫이 주로 사용되어 왔음. 나일론 66 가격이 상승하면서 터프티드 카펫(Tufted Carpet) 생산업체들이 나일론 6 원사를 사용한 제품 개발을 확대하고 있음

 

현재 유럽의 나일론6 업계는 아시아와의 경쟁뿐만 아니라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 에 당면하고 있음. 브렉시트는 유럽의 카펫 판매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임. 벨기에와 네덜란드에 소재한 대형 터프티드 카펫(Tufted Carpet) 생산업체들은 영국과의 영업비중이 60%를 차지하고 있음

 

나일론 6에 대한 안정성, 수익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과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으나 주요 산업 분야에서 나일론 6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에서의 입지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음. 따라서, 향후 나일론 6의 가격급락 없이, 예측가능하고 안정적인 수급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됨

 

그간 일시적인 유가상승이 있기도 했으나 유가는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해왔으며, 향후 배럴당 60불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따라서, 유가와 상관관계가 높은 폴리에스터 핵심 원료인 벤젠 가격에 호재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S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ENGLISH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9층 (03170) Tel. 02-734-1191~4 Fax. 02-738-0111
Copyrightⓒ KOREA CHEMICAL FIBER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