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부직포 시장의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06-12-21 09:18 조회4,025회관련링크
본문
Chemical Fibers International
세계 부직포 시장은 그 발전방향이 매우 긍정적이다. ‘05년 세계 부직포 생산은 전년대비 7% 증가한 4.7백만톤이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5%대의 안정된 성장세가 나타나고 있어 이같은 긍정적인 국면을 지지하고 있다.
일반 섬유제품 산업은 생산거점을 저임금 국가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부직포 산업도 이와 비슷한 모습이다. 다만, 이전속도가 빠르지 않을 전망임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현시장의 지위가 상당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측하는 전문가도 있다.
부직포 산업에 대한 전망이 다양하게 제시되는 원인으로는 업체별로 설비의 수직통합의 수준이나 코스트구조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원사에서 최종제품에 이르는 일반 섬유제품공정에서는 전체공정이 매우 길고, 노무비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점차 低임금 국가로의 생산기반 이전이 나타나고 있으며, 합섬업계에서 생산되는 원사가 다운스트림 업계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면, 부직포 산업은 설비가 집약적이며, 여러가지의 개별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부직포 웹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부직포 웹으로부터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의 자동화 등으로 인해 低임금 국가의 코스트이점이 다소 적다는 점, 운송코스트를 통한 과도계상 등이 적다는 점도 일반 섬유산업 분야와 비교시 부직포산업의 이점을 대변하고 있다.
따라서 위생(기저귀, 지혈마개, wipes 등), 자동차 분야, 지오텍스타일 분야 등 부직포 고유분야에서는 수요증가에 맞춰 생산도 증가할 전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직포 생산기반도 에너지, 원료코스트 절감을 위해 중장기적으로는 유럽 등에서 아시아, 중동 등지로 이전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10년까지 PP 폴리머의 생산증가분이 1.6백만톤에 달하고 있어 이전이 더욱 확실시되고 있다.
이밖에도 노동집약적인 추가공정이 필요한 부직포 분야에서는 저임금 국가로의 이전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수술복, 클린룸用 모자, 방호복 등의 분야를 들 수 있다. 동 분야의 여러 업체에서는 이미 설비의 상당부분을 이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필요물량을 해외지역에서 직접 생산하는 방식도 추진중이다.
내수 부직포 시장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산이 확대되는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은 동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전체 섬유산업에 있어서도 그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아시아 부직포 생산량의 절반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며, 동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중국의 부직포 생산량은 5배이상 증가하여 연평균 18% 이상 증가하였으며, ‘05년 생산량은 750천톤에 달했다. 향후에도 견조한 성장세가 예측되고 있어 두 자릿수의 증가율이 지속될 전망이다.
현재 중국은 부직포의 모든 분야에서 그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주로 생산하는 제품은 단순기술로 운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동 시장에서 내수생산된 설비가 바탕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이를 증명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에서는 부직포 설비분야에서 고품질 설비와 효율적 기술/단순/내수생산 설비로 양극화가 뚜렷한 상황이다.
이밖에도 중국의 부직포 산업에서 내수 생산설비의 비율이 높은 원인 중 다른 하나는 수요업체 중심의 구조이기 때문이다. 다수의 투자업체는 소규모인 사유기업이므로 전체 부직포 산업에서 대기업과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절대 투자비용이 적고, 투자비용 회수기간이 짧은 것이 동 산업의 특징으로도 볼 수 있다.
중국의 스펀본드 부직포산업은 내수기술이 해외로 이전되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대다수의 로컬 스펀본드 부직포설비가 소규모이며, 중/대형 제품을 위해 flexible single beam을 사용하고 있어 쇼핑백, 가구류, 침구류 등에 적합하고, 위생/의료用 고품질 web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동 설비 디자인이 보편화되면서 내수 생산업체의 요구에 부응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전반적으로 설비가격이 저렴해지면서 동 분야는 서유럽의 부직포 생산설비 시장으로는 진입이 어려워진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더 이상 低價 부직포 시장으로는 볼 수 없으며, 高품질 제품생산을 위한 기술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고품질用 설비는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분야이며, 중국 업체는 최근 위생용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신규업체의 진입확대는 소규모 사유업체의 고품질 설비 및 고효율 설비에 대한 수요를 확대시키고 있다. 또한 제품수준도 상향 표준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 선진시장을 비롯하여 신흥시장에서는 고품질 설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기타 분야에서 중국 설비업체가 시황 및 수요에 맞추어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