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일본의 화섬 수급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21-03-05 18:09 조회1,448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3.5
일본화섬협회 자료에 따르면, `20년 일본의 화섬 생산량은 705.4천톤으로 전년대비 13.8% 감소함. 이 중 합성섬유 생산량은 545.2천톤으로 전년대비 16.5% 감소했으며, 세부 품목별로는 폴리에스터 F와 SF는 92.8천톤, 76.2천톤, 나일론 F는 54.1천톤, 아크릴 SF는 83.6천톤으로 전년대비 각각 20.1%, 8.0%, 29.2%, 27.1% 감소함. 셀룰로오스 섬유 생산량은 160.2천톤이며, 세부 품목별로는 장섬유가 14.9천톤으로 전년대비 33.6% 감소한 반면, 단섬유는 2.1% 증가한 145.3천톤임
동 기간 화섬 수출량은 254천톤, 수입량은 235.7천톤으로 전년대비 각각 13.4%, 14.9% 감소함. 세부 품목별 수출량은 폴리에스터F(△21.5%)와 SF(△15.3%), 나일론F(△21.3%), 아크릴SF(△17.1%)는 전년대비 모두 감소함. 세부 품목별 수입량은 폴리에스터 F(△19.5%)와 SF(△11.2%), 나일론 F(△23.1%)는 전년대비 모두 감소한 반면, 아크릴SF(13.7%)는 증가함. S
<`20년 일본의 화섬 수급 현황>
(단위 : 천톤, %)
구분 | 생산 | 출하 | 수출 | 수입 | 월말재고 | 월간 생산능력 (톤) |
폴리에스터 F (증감율) | 92.8 (△20.1) | 47.0 (△11.6) | 11.9 (△21.5) | 103.8 (△19.5) | 8.1 (△18.7) | 17.5 |
폴리에스터 SF (증감율) | 76.2 (△8.0) | 83.4 (△5.8) | 12.2 (△15.3) | 64.5 (△11.2) | 11.0 (△14.0) | 15.9 |
나일론F (증감율) | 54.1 (△29.2) | 51.0 (△22.3) | 21.8 (△21.3) | 22.2 (△23.1) | 7.8 (△31.1) | 11.0 |
아크릴SF (증감율) | 83.6 (△27.1) | 82.3 (△25.9) | 104.3 (△17.1) | 0.8 (13.7) | 13.7 (6.5) | 14.2 |
합성섬유 (증감율) | 545.2 (△16.5) | 409.9 (△16.8) | 219.2 (△17.2) | 217.8 (△15.0) | 61.4 (△10.2) | 90.7 |
셀룰로오스 섬유 (증감율) | 160.2 (△2.7) | 147.0 (△1.6) | 34.8 (21.5) | 17.9 (△13.8) | 21.9 (13.8) | 15.4 |
화학섬유 (증감율) | 705.4 (△13.8) | 556.9 (△13.3) | 254.0 (△13.4) | 235.7 (△14.9) | 83.3 (△4.9) | 10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