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섬유제품무역 현황(2018년 1∼9월)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18-11-21 16:21 조회2,498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11. 21
미국 상무성에 따르면 2018년 1~9월 미국의 섬유제품무역은,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3.9% 증가한 176억불, 수입이 동 4.5% 증가한 834억불로 공히 증가를 기록함. 그 결과 무역수지는 658억불 무역적자를 기록하였음.
< 미국의 섬유제품무역 현황(2018년 1~9월) >
(단위 : 100만불, %)
구분 | 수출액 | 수입액 | 무역수지 | ||
| 전년대비 |
| 전년대비 | ||
방직품 | 13,180 | 3.4 | 20,865 | 9.6 | △7,685 |
의류 | 4,406 | 5.6 | 62,489 | 2.9 | △58,083 |
섬유품계 | 17,586 | 3.9 | 83,354 | 4.5 | △65,768 |
섬유제품 수입을 상대별에 보면, 최대 수입선은 중국으로, 그 수입은 전년동기비 3.5% 증가한 300억불이었음. 섬유제품 수입전체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36.0%로 2017년 연간 36.6%에서 0.6포인트 하락했음.
2018년 중반부터 미중의 무역마찰이 심각화되고 있지만, 섬유제품에 있어서는 수입의 태종을 차지하는 어패럴·2차제품(HS61-63류)이 대상 외이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수입실적에서는 그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음.
제2위는 베트남으로 동 6.9% 증가한 98억불로 증가를 지속하였음. 베트남의 점유율은 11.8%로 2017년 연간에 비해 0.3포인트 상승하였음.
제3위는 인도로 동 3.0% 증가한 59억불. 제4위는 방글라데시로 동 5.6% 증가한 43억불, 제5위는 멕시코로 동 1.0% 증가한 36억불이었음.
한편, ASEAN 전체로는 동 5.1% 증가한 172억불로 전체의 20.6%를 차지하여, 중국과 ASEAN이 미국의 섬유제품수입의 약 57%을 점유하였음.K
< 미국의 섬유 제품 수입 >
(단위 : 100만불, %)
국가 | 2015 | 2016 | 2017 | 2018. 1~9월 | |||
| 전년동기 | Share | |||||
세계계 | 111,906 | 104,621 | 105,948 | 83,354 | 4.5 | 100.0 | |
| 중국 | 43,206 | 38,499 | 38,734 | 30,011 | 3.5 | 36.0 |
베트남 | 11,292 | 11,313 | 12,186 | 9,799 | 6.9 | 11.8 | |
인도 | 7,266 | 7,217 | 7,401 | 5,890 | 3.0 | 7.1 | |
방글라데시 | 5,605 | 5,491 | 5,272 | 4,340 | 5.6 | 5.2 | |
| 멕시코 | 4,611 | 4,455 | 4,736 | 3,557 | 1.0 | 4.3 |
| 인도네시아 | 5,180 | 4,900 | 4,762 | 3,581 | △1.6 | 4.3 |
| EU 28개국 | 4,288 | 4,029 | 4,165 | 3,440 | 12.5 | 4.1 |
| 파키스탄 | 3,029 | 2,728 | 2,765 | 2,139 | 2.5 | 2.6 |
| 캄보디아 | 2,687 | 2,189 | 2,234 | 1,937 | 15.4 | 2.3 |
| 온두라스 | 2,543 | 2,571 | 2,482 | 1,911 | 0.4 | 2.3 |
| ASEAN계 | 22,054 | 21,027 | 21,659 | 17,200 | 5.1 | 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