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화섬정보 > 화섬정보

화섬정보

전세계적으로 화섬원료 투자 증가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20-01-31 15:46 조회1,729회

본문

화섬정보 1.31

 

합성섬유 시장은 전세계 섬유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원유생산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지속된 저유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섬유의 우수한 특성과 폐플라스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면서 반합성섬유인 셀룰로오스 섬유원료의 전례없는 대규모 생산능력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음

 

합성섬유의 주요 제품인 폴리에스터는 최근 저유가로 인해 상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음. `05년 이래로 무관세·무쿼터(Quota-free) 기간동안 OPEC 바스켓 가격 (OPEC basket price)은 배럴당 74불이었으나 `15년 이후로 평균 가격은 20불 이하이며, `14년 중반에 발생한 dramatic contraction 이후로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 않음

 

폴리에스터의 주요 원료는 PX(Paraxylene), PTA(Purified Therephthalic Acid), MEG(Mono Ethylene Glycol)임. PTA의 경우, 기존의 DMT(dIMETHYL tEREPHTHALATE)를 완전 대체함

      

전세계적으로 중국시장을 겨냥해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향후 대부분의 신규투자도 중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수직 계열화를 성공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것임

또한, 해외로부터의 PX 소싱이 증가하면서 주변 산업들의 對중국 수출이 늘어나게 됨.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중국의 PX 생산능력이 향후 두 배로 확대될 예정이기 때문임. 이처럼,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주요 PX 수출국이 위협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됨

 

중국 내 PX 생산능력 확대 가속화의 주된 요인으로는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금지로 폴리에스터 원료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며. 저유가로 인해 버진 물질이 폐 플라스틱 보다 더욱 경제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중국 내 3개 프로젝트 합산 총 1천만톤 이상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 진행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임

    

신규 PX 생산능력 확대는 부르나이, 인도,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3개 시설과 중동, 사우디 아라비아, UAE에서 이루어질 예정임. 현재 글로벌 규모의 신규 크래커와 아로마틱 프로젝트를 비롯한 미국 내 신규 생산능력 확대가 검토중임

    

한편, 총 250만톤 규모의 2개 PTA 프로젝트가 인도와 미국에서 진행 중이며, 포르투갈에서는 `15년 말부터 유휴 상태였던 PTA 생산공장을 `18년 중반부터 가동을 재개함

 

MEG의 경우, 미국 내 해외투자자들에 의한 5개의 프로젝트가 브루나이, 인도,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지역에 각각 1개의 신규 생산공장이 향후 2년내로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들의 총 예상 생산능력은 700만톤에 달함

 

중국 내 MEG 생산능력 확대의 주요 원동력은 합성가스 루트(Syngas Routes) 임. 10년전 석탄 기반의 MEG 생산량은 거의 없었으나, 2022년까지 생산능력의 거의 절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14년 유가 붕괴 이후 석탄이 원가 경쟁력을 상실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석탄 기반 MEG 생산은 환경오염 방지를 강조하는 정부 캠페인과 양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음

 

이에 따라, 화섬 셀룰로오스 섬유는 2002년 이래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작년에는 생산량이 거의 700만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특히, 셀룰로오스 단섬유 시장은 금융위기 이후로 매년 합성 단섬유 시장 전체를 능가하여 10년 연속 높은 성장을 보임

비스코스 단섬유의 성장 모멘텀은 전세계의 투자확대, 생분해성을 비롯한 우수한 섬유 성질, 석유 기반의 섬유로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에 대한 미디어의 관심이 확대, 기존보다 안정적인 천연섬유 공급, 환경적으로 안전한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개선, 제한된 양의 원자재 등을 들 수 있음

 

한편, 비스코스 섬유의 수요 증가는 목재펄프 투자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17년 아시아에서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전까지 아메리카 지역의 생산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브라질, 캐나다, 미국 내 생산공장이 있음. 미국 내 3개의 생산공장은 디보틀넥킹(Debottlenecking) 및 특수 등급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투자받았으며, 2022년 가동 예정임

 

`15년 전세계 목제펄프 생산능력의 4분의 1을 차지했던 아시아는 `19년 그 비중이 40% 이상으로 확대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국별로는 중국, 인도네시아, 라오스 내 목재펄프 생산능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유럽의 용해 목재펄프 생산능력(Dissolving Wood Pulp)은 약 200만톤에 달하며, 9개국에 생산공장이 있음. 2개의 신규 Mill이 가동될예정이며, 디보틀넥킹(Debottlenecking)을 위한 추가 투자를 비롯하여 5년간 가동을 중단한 스페인 소재 생산공장도 완전 가동을 계획하고 있음

아프리카 지역 내 유일한 용해 목재 펄프 생산공장은 남아공에 소재하고 있음. 5만톤에 대한 디보틀넥킹(Debottlenecking) 프로젝트가 `18년 말까지 마무리되었으며, 2020년 말까지 12만톤 규모의 디보틀넥킹(Debottlenecking) 투자가 마무리되도록 할 예정임.S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ENGLISH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30 적선현대빌딩 9층 (03170) Tel. 02-734-1191~4 Fax. 02-738-0111
Copyrightⓒ KOREA CHEMICAL FIBERS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