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비스코스 섬유산업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20-02-10 14:29 조회1,797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2.10
최근 몇 년간 미국, 일본,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비스코스 섬유 산업을 철수해온 반면, 아시아 지역 특히, 중국에서는 생산능력 및 생산량의 급격한 확대로 인해 동 산업의 활기가 최고조에 달해 있음. `18년 세계 비스코스 섬유 생산량은 약 580만톤이며, 이중 중국이 65%의 비중을 차지함
중국은 비스코스 섬유 최대 생산 및 소비 국가로 `17년 판매 시장(Sales Market) 점유율과 매출 시장(Revenue Market) 점유율이 각각 63.53 %, 60.79 %를 차지함. 중국에 이어 인도의 판매 시장 점유율이 10.5%이며, 유럽도 비스코스 섬유의 주요 소비시장 중의 하나임
비스코스 섬유는 장섬유와 단섬유로 구분되며, 특히 비스코스 단섬유의 판매 시장 비중이 88.77%를 차지함. 세계 비스코스 섬유 시장규모는 연평균 약 4.8% 증가하여 2020년에는 121억불, 2024년에는 160억불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비스코스 섬유 부문의 세계적인 리딩기업으로 오스트리아에 소재한 Lenzing과 인도에 소재한 Aditya Birla Group의 `18년 생산능력은 각각 연간 800kt임. 한편, 대규모 비스코스 섬유 생산능력을 보유한 기업은 주로 중국업체들임
비스코스 섬유 중 비스코스 단섬유의 상당량이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능력과 생산량은 전세계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함. `18년 말 기준, 중국의 비스코스 단섬유 생산능력은 기존 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17년 보다 70만톤 증가한 475만톤에 달함
중국의 주요 비스코스 단섬유 생산기업은 Sateri (China), Sanyou Chemical, Xinjiang Zhongtai Chemical, Grace, Shandong Silver Hawk Chemical Fibre, Aoyang Technology이며, 총 6개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74.1%를 차지함. 그 중 Sateri의 생산능력이 가장 높으며, `18년 말 기준 동사의 3개 공장의 총 생산능력은 연간 85만톤이며. `19년 4월 상당한 부채를 가진 Jiangsu Xiangsheng Viscose Fiber Co., Ltd.를 인수하면서 연간 110만톤으로 증가함
기타 업체들의 증설 프로젝트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로 인해 `19년 생산능력이 기존 보다 약 35만톤 추가되어, 향후 비스코스 섬유 총 생산능력이 510만톤이 될 것으로 추정됨. 기술진보로 인해 비스코스 섬유의 생산능력 확대가 국내에서 증가하고 있고, 트렌드 변화로 인해 제품의 차별화 경향이 더욱 확대되고 있음
중국 내 대규모 생산능력 확대, 국가 전반에 걸친 엄격한 환경 캠페인, 레이온 원사 수요 감소 등으로 비스코스 단섬유 시장가격은 하락세를 보였으며, `18년 12월 시장가격이 최저치에 이르면서 대다수 비스코스 업체들이 손실을 초래함. 비스코스 단섬유 시장가격은 `19년에 제한된 범위에서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됨
수출입 부문에서는 `18년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해 중국의 비스코스 섬유 시장에 다소 영향을 끼침. 중국의 비스코스 섬유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고, 그 중 비스코스 단섬유 수출량이 37만톤으로 연평균 12.5% 증가함. 향후 중국의 비스코스 수출은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차별화 섬유 생산 비중이 증가하면서 경쟁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됨.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