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미국의 섬유제품 수입 전년대비 0.3% 증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화학섬유협회 작성일20-02-20 14:06 조회2,752회관련링크
본문
화섬정보 2. 20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19년 미국의 섬유제품 무역은, 수출이 전년대비 2.4% 감소한 229억달러, 수입은 동 0.3% 증가한 1,113억 달러였음. 그 결과 무역 Balance는 884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보임.
단계별로 수출입을 살펴보면 수출은, 방직품은 전년대비 2.9% 감소한 169억 달러, 의류는 동 0.8% 감소한 60억 달러로 공히 감소하였음. 반면, 수입은 방직품이 동 2.3% 감소한 275억 달러, 의류가 동 1.2% 증가한 838억 달러이었음.
< 2019년 미국의 섬유제품 무역실적 >
(단위 : 100만 달러, %)
구분 | 수출액 | 수입액 | |||
| 전년대비 |
| 전년대비 | 무역Balance | |
방직품 의류 | 16,878 6,027 | △2.9 △0.8 | 27,461 83,822 | △2.3 1.2 | -10,582 -77,795 |
섬유제품 계 | 22,905 | △2.4 | 111,283 | 0.3 | -88,378 |
섬유제품 수입을 상대별로 살펴보면 최대국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대비 10.2% 감소한 365억 달러였음. 섬유제품 수입전체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점유율은 32.8%로 전년대비 3.8포인트 하락했음. 특히, 미/중 무역의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는 의류·2차 제품이 9월에 추가 관세 대상이 됨에 따라 Apparel 수입이 9월 이후 크게 감소하였음.
제2위는 베트남으로 전년대비 11.6% 증가한 144억 달러를 기록하였음. 베트남의 점유율은 13.0%로 전년대비 1.3포인트 상승하였음.
제3위는 인도로 전년대비 5.0% 증가한 81억 달러, 제4위는 방글라데시로 동 9.2% 증가한 61억 달러, 제5위는 인도네시아로 동 0.2% 증가한 47억 달러이었음. 이상 5개국은 전년과 비교하여 크게 다른 점이 없었음. ASEAN 전체로부터의 수입은 베트남, 캄보디아 등의 호조로 동 10.2% 증가한 250억 달러이었으며, 그 점유율은 22.5%로 전년에 비해 2.0포인트 상승하였음.K
< 미국의 상대국별 섬유제품 수입실적 >
(단위 : 100만 달러, %)
상대국 | 2016 | 2017 | 2018 | 2019 | |||
| 전년대비 | Share | |||||
| 세계계 | 104,620 | 105,818 | 110,959 | 111,283 | 0.3 | 100.0 |
중국 | 38,499 | 38,702 | 40,573 | 36,452 | △10.2 | 32.8 | |
베트남 | 11,313 | 12,180 | 12,934 | 14,436 | 11.6 | 13.0 | |
인도 | 7,217 | 7,398 | 7,671 | 8,051 | 5.0 | 7.2 | |
방글라데시 | 5,491 | 5,269 | 5,607 | 6,124 | 9.2 | 5.5 | |
인도네시아 | 4,900 | 4,756 | 4,706 | 4,715 | 0.2 | 4.2 | |
EU 28개국 | 4,030 | 4,158 | 4,652 | 4,832 | 3.9 | 4.3 | |
멕시코 | 4,455 | 4,709 | 4,567 | 4,405 | △3.6 | 4.0 | |
캄보디아 | 2,189 | 2,230 | 2,554 | 3,062 | 19.9 | 2.8 | |
파키스탄 | 2,728 | 2,759 | 2,857 | 3,046 | 6.6 | 2.7 | |
온두라스 | 2,571 | 2,479 | 2,584 | 2,840 | 9.9 | 2.6 | |
ASEAN | 21,027 | 21,643 | 22,700 | 25,019 | 10.2 | 22.5 |